![](https://blog.kakaocdn.net/dn/cB0p9e/btryP2xEbSf/aAjCOoMp6hJrG7kJkpSn71/img.png)
홍콩야자 특징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산형화(목) - 두릅나무(과)
(중국, 대만 원산지의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열대성 관엽식물)
전세계에 약 150여종 가량의 홍콩야자들 중 한 종류로써
홍콩야자 혹은 무늬홍콩야자라고 불리는 종이며, 홍콩에서는 쉐프렐라(Schefflera)라고 한다고 하네요.
원산지는 대만, 중국이며 잎 모양이 우산을 많이 닮았다고 하여
우산나무라고 불리워지기도 하는 식물이에요
(중국 남부, 대만 전역에 분포하는 식물)실내에서 반음지에서도 잘 자라고 건조에 강하기 때문에
가정이나 사무실에 놔두고 키우기도 좋습니다!
*관리방법*
1 물주기
![](https://blog.kakaocdn.net/dn/EFjJS/btryQqSBSTc/obuWX288eXdtvkD98GfPv1/img.png)
홍콩야자는 건조에 강한 식물이에요~
과습으로 쉽게 죽기 때문에
겉흙이 마르고 3-4일 정도 후에 물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
하지만 공중습도는 높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공기가 건조할 때는 깍지벌레 같은 병해충을 입을 수도 있으니
건조하지 않게 자주 스프레이 해주셔도 좋아요 :)
2 장소
![](https://blog.kakaocdn.net/dn/bA2spK/btryRsphePO/rYdKhZOtgoQCdqfSVJ9pjk/img.png)
홍콩야자는 강한 햇빛에 놔두면 잎에 반점이 생겨요!
햇빛이 은은하게 들어오는 반양지 또는 반음지에서 건강하게 잘 자란답니다 :)
또한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관리해주세요~
통풍이 잘 안되면 잎이 시들거나 줄기가 곧게 자라지 않습니다.
생육 적정온도는 16-30도 정도이고, 겨울철에는 꼭 실내에서 키워야 합니다!
홍콩야자는 새집에 이사 갈 경우 가장 먼저 들여놓으면 좋아요~
집안의 각종 유해물질들을 제거하고, 증산작용이 활발해서
미세먼지 제거 능력도 탁월하답니다!
3 분갈이
![](https://blog.kakaocdn.net/dn/cJFe6j/btryQ1ZIgNo/SA2HA7VViRpgKhR4Cbk0hk/img.jpg)
홍콩야자는 두릅나뭇과 식물이에요~
두릅나뭇과 식물은 번식도 잘되고 키우기도 쉬운 특징이 있는데요!
그만큼 잘 자라기 때문에 2-3년에 한 번 정도 분갈이를 해주세요~
분갈이를 할 때 죽은 뿌리도 정리하고, 웃자란 가지와 잎들도 정리하고
분갈이를 하면 새순이 잘 자랍니다 :)
잘라낸 줄기는 삽목, 물꽂이로 쉽게 번식이 잘 돼요~
원산지에서는 7m까지 자라고, 보통 3m까지 자라기도 합니다!
하지만, 키만 크게 키우는 것보다는 적당한 가지치기로 풍성하게 키우는 것을 추천해요 :D
4 꽃/열매
![](https://blog.kakaocdn.net/dn/cv4s4l/btryQ0NkJSf/hFMU1KDBOP4EXtMBTrgLRk/img.jpg)
홍콩야자는 10년 정도 꾸준히 잘 키우면 1년 동안 꽃대가 나오기 시작해요.
가까이서 보지 않으면 핀 것인지 안 핀 것인지 구분이 가지 않을 만큼
작은 꽃이 피고, 꽃이 지면 열매도 볼 수 있어요!
하지만 홍콩야자의 꽃과 열매에는 옥살염이라는 독성 성분이 있어 사람이 먹으면 큰일 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xGvWi/btryRRoRChK/LnBd60r2xk8YRCRbHH2I2K/img.jpg)
홍콩야자의 마주 보고 있는 잎이 황금비율이라서
초록 잎을 보고 있으면 심신 안정이 돼요
특히, 노안과 안과질환의 진행 속도를 늦춰주기도 해서 안과의사들이 권장하는 식물이라고 합니다 :)
실내에서 키우기 좋고, 새집 증후군에도 좋으니
집들이 선물로 홍콩야자 선물해보세요!
'기타 잡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호사 필요없습니다! 혼자서 전자소송 - 소액심판 소장 작성하기 (0) | 2022.07.19 |
---|---|
세계에서 가장 단어가 많은 언어 (0) | 2022.04.14 |
인스타 팔로워 늘리기 - 인스타 해시태그모음 앱 추천 (0) | 2022.04.06 |
집에서 기르는 스마트팜! - 식용 가능한 새싹의 종류 & 효과 (0) | 2022.01.31 |
계속되는 군사적 긴장! - 우크라이나, 러시아 충돌의 원인을 알아보자. (0) | 2022.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