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화페 리플(Ripple)? 비트코인? 리플을 알아보자. - 생활주부 깔끔이
기타 잡지식 / / 2021. 2. 3. 22:22

전자화페 리플(Ripple)? 비트코인? 리플을 알아보자.

 

비트코인, 이더리움과 함께 항상 블록체인 개발자들이나 투자자들에게 이슈인 리플(Ripple)에 대해 한번 알아보자.

현재 글을 쓰는 기준으로 500원대라는 비교적 가격이 싼 리플이지만 가격이 1원만 변해도 등락폭이 크기 때문에 사람들의 거래량이 어마어마하고, 장기투자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이들 중에서도 리플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 그들과 리플에 대해 전혀 모르는 사람들도 이 글을 통해 리플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차근차근 정리해보자.

 

정확히 말해, 리플은 블록체인 기반이 아니다

일단 짚고 넘어가자면 리플은 우리가 아는 블록체인 기반이 아니다. 그렇다고 하나의 기관이 관리하는 시스템도 아니고 다른 코인들과 마찬가지로 P2P 기반의 거래 작성 방식이다.

그걸 알아보기 전에 우리가 기존에 알던 방식과는 조금 다른 거래 방식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다.

 

리플의 전신인 리플페이(RipplePay)의 거래 방식

위에서 언급한 조금 다른 거래 방식이란 Ripple의 전신인 RipplePay의 거래 방식인데, 이것을 이해해야 현재 리플이 무엇인지 이해가 가능하다.

아래 그림을 보고 쉽게 이해해보자.



한국에 사는 유재석이 미국에 사는 강호동에게 1리플을 보내려 한다. (아직 보낸 건 아님)





중개인인 김구라에게 보낼 1리플과 수수료를 포함 임의의 비밀 코드를 하나 같이 보낸다.





유재석은 그 비밀코드를 돈을 받을 강호동에게도 알려준다.





그 비밀코드를 미국에 있는 중개인인 이경규에게 얘기하고 1리플을 그 중개인으로부터 받는다. 또한 처음에 유재석이 지불했던 수수료를 중개인인 김구라와 이경규가 나눠 가지는 방식으로 거래가 이루어진다.

 

신뢰 커뮤니티 기반의 거래 방식

어떻게 보면 리플페이의 거래 방식은 우리가 지금까지 알던 은행거래와 비슷하다.

하지만 이 거래의 특징은 유재석의 돈이 직접 미국까지 이동하지 않았고 먼 거리에 있는 사람에게 돈을 보내기 위해 '그들끼리' 중앙기관 없이 신뢰 커뮤니티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그렇기에 하나의 기관이 모든 거래를 기록하지 않고, 그 커뮤니티 안에서는 누구든 '중개인'이 되어 거래를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돈을 직접 주지 않고도 가치를 전송할 수 있다. (위 그림에서 유재석과 강호동도 중개인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많은 노드들의 합의도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비트코인보다 거래속도가 훨씬 빠르다.

그런데 관건은 이 커뮤니티의 규모이다.

 

인스타그램 VS 카카오스토리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는 SNS는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이다. 사용자 수가 어마어마하고 서로 교류하는 시스템도 잘 구축되어 있다. 반면 사람들이 조금 덜 찾는 카카오스토리의 경우 사용자가 많긴 하지만 위의 두 플랫폼과 비교했을 때는 규모가 작은데, 이러한 상황은 리플과 리플페이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Ripple의 전신이었던 RipplePay도 빈번하게 이용하는 사용자 수가 많았다면 신뢰도도 더 올라가고 가치도 상승했을 것이다. 은행 거래와 유사하지만 탈중앙화, 간소한 소프트웨어 등의 장점으로 인해 ‘규모’ 만 보장된다면 더욱 활발하게 거래가 이뤄졌을 것이다.

그러나 그렇지 않았기에, 이전 RipplePay는 실패하게 됐다.

 

리플페이의 실패를 딛고 태어난 리플

RipplePay의 실패를 기반으로 Ripple이 탄생하면서 해결책을 제시했다. 리플은 XRP라는 Ripple 토큰 발행과 게이트웨이를 통해 리플의 문제점을 해결했다.

먼저 XRP라는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리플 토큰 발행을 통해 다른 블록체인 기반들과 유사하게 한 주소에서 다른 주소로 송금이 가능해졌다. 기존의 RipplePay 시스템의 경우는 신뢰가 가능한 중개인을 거쳐 가치가 오갔지만 XRP 토큰을 매개로 믿을 만한 사람이 없어도 송금이 가능해진 것이다.

쉽게 설명하면 게이트웨이는 환전소랑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US 달러와 원화가 얼마에서 서로 가치가 같은지를 수요/공급에 따라 결정하고 환전하는 것처럼, 게이트웨이에서 이 가치의 교환이 일어난다. 서로의 가치를 교환해주는 게이트웨이가 없는 경우 위 그림처럼 여러 게이트웨이를 거치면 교환이 가능해진다.

이 때, 가치는 포인트가 될 수 있고 비트코인이 될 수 있고 원화가 될 수 있고 달러가 될 수 있다. 그렇기에 누구나 게이트웨이를 만들 수 있게 되어 은행도 게이트웨이가 될 수 있고 P2P 시스템도 게이트웨이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누구나 게이트웨이를 만들 수 있다면 그 게이트웨이를 만드는 사람이 설립 초기에는 신뢰를 얻기가 굉장히 어렵다는 단점이 있기도 하다.

게이트웨이에서 사용되는 것이 XRP, 즉 리플(Ripple)이다.

Ripple은 처음 만들어 질 당시부터 코인의 개수를 1000억개로 발행했고, 게이트웨이에서 가치의 거래가 일어날 때마다 사용되는데, 그와 동시에, 사용되는 XRP는 태워져 없어지도록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쉽게 말해, 여러 개의 게이트웨이에서 다양한 유형의 거래의 통합된 수수료로서 사용되는 코인이 리플인 것이다.

 

리플의 문제점

그렇다 해도 리플은 다분히 중앙화된 거래기록 방식이다. 리플은 채굴을 통해 토큰을 발행하지도 않고 미리 리플사에서 발행된 상태로 거래된다. 거래기록 또한 분산화 돼 있다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8개의 노드 밖에 가지고 있지 않다.

즉, 이중지불이라는 문제점이 발생해도 8개 노드의 합의만 이끌어낸다면 얼마든지 거래의 위변조가 가능하다는 위험성도 존재한다.

그래도 리플이 가치를 창출하는 건 화폐의 가장 기본적인 요건인 가격의 안정성이라는 부분에 기인하고 있다.

비탈릭이 방한했을 때 “cryptocurrency가 기존의 화폐를 완벽히 대체할 수는 없다” 고 말했다. 다만 블록체인의 도입으로 인한 전 세계적인 흐름은 막을 수 없고 정부가 암호화 화폐를 막는 일 또한 불가능에 가까운 것이다.

그렇기에 중앙기관에서 거래를 기록하기도 하면서 여러 게이트웨이에서 분산화된 방식으로 거래되는 리플이 가까운 미래의 과도기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728x90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